구글 애드센스 ads.txt 파일 문제 해결하기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기뻐하던 찰나, 갑자기 빨간색 경고 메시지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처음 보는 이 메시지에 당황했지만, 알고 보니 생각보다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오늘은 제가 겪은 ads.txt 파일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ads.txt란 무엇인가?
ads.txt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약자로, 광고주가 승인된 판매자를 통해 디지털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IAB Tech Lab의 솔루션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내 블로그가 정식으로 승인된 애드센스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파일이 없으면 광고주는 내 블로그가 정식 승인된 곳인지 확인할 수 없고, 결국 광고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ds.txt 파일 문제 해결 방법
1. ads.txt 파일 생성하기
먼저 ads.txt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사이트' → '승인받은 블로그'로 들어가 게시자 ID를 확인합니다.
- 메모장(Windows) 또는 텍스트 편집기(macOS)를 열고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google.com, pub-게시자ID번호, DIRECT, f08c47fec0942fa0
- 'pub-게시자ID번호' 부분에 자신의 애드센스 게시자 ID를 입력합니다.
- 파일명을 'ads.txt'로 저장합니다.
2. 블로그스팟에 ads.txt 파일 업로드하기
블로그스팟에서는 다음과 같이 ads.txt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스팟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설정' → '기본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 'ads.txt' 섹션을 찾아 '편집'을 클릭합니다.
- 앞서 생성한 ads.txt 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
- '저장'을 클릭합니다.

3. 변경사항 확인하기
업로드 후 구글 애드센스에서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글 애드센스로 돌아갑니다.
- '사이트' 메뉴에서 해당 도메인의 ads.txt 상태를 확인합니다.
- 상태가 '승인됨'으로 변경될 때까지 기다립니다(1초만 기다리세요).

내가 겪은 경험
처음에는 이 경고 메시지가 꽤 위협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수익 손실 위험"이라는 문구가 마치 당장 모든 수익이 사라질 것 같은 불안감을 주었죠. 하지만 알고 보니 이는 예방 차원의 경고였습니다.
ads.txt 파일을 생성하고 업로드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메모장에 한 줄의 코드를 입력하고, 블로그스팟 설정에서 이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업로드 후 약 이틀 정도 지나자 애드센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경고 메시지가 사라졌고, ads.txt 상태가 '승인됨'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제 안심하고 블로그 운영과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치며
애드센스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ads.txt 파일 문제는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이 글이 같은 문제로 고민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블로그 운영과 애드센스 사용에 관한 유용한 정보들을 계속해서 공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글 블로그 스팟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운영에서는 안정성과 호환성이 높은 이미지 형식 WebP와 WebP v2의 차이점 (1) | 2025.04.07 |
---|---|
Stock.adobe.com 어도비 스톡 탈퇴 방법 안내 (2) | 2025.04.03 |
네이버 & 구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웹사이트, 여기가 대세?! TOP 10🔥 (8) | 2025.02.26 |
애드센스 전문가 vs. 블로그 전문가, 당신의 선택은? (5) | 2025.02.24 |
애드센스 광고 간 최소 거리(px), 이 정도가 딱 적당하다! (3)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