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부

삶의 궁극적인 목적, 인생의 목적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셀리그만까지

by 꿀꿀라이프 2025. 1. 10.

삶의 궁극적인 목적, 인생의 목적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셀리그만까지

대학원 석사 상담심리 과정 진로상담에 대한 본격적인 수업에 들어가기 앞서 인간이 살아가는 궁극적인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적, 인생의 목적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셀리그만까지

 

잘 알거라 생각한 주제지만 막상 정리해서 발표하려고 하니 말문이 막힙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행복
무탈한 삶
환경에 지배당하지 않는 삶
사랑

 

그렇다면 과거의 대표적인 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정의한 사람들

1.1 아리스토텔레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행복(εὐδαιμονία, 유다이모니아)이야말로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행복을 단순한 쾌락이나 감정적 만족이 아니라, 이성과 덕에 기반한 영혼의 활동으로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유다이모니아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유다이모니아는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도덕적, 지적 덕을 실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완전한 삶입니다. 그는 이를 위해 인간이 실천해야 할 덕목을 "중용"(過不足의 조화를 이루는 상태)으로 정의했습니다.

 

 

1.2 달라이 라마

달라이 라마는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이라고 명확히 밝히며, 행복은 모든 인간이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행복을 외부적 조건에서 찾으려 하기보다는 내면의 상태에서 발견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물질적 풍요나 외적인 성공이 일시적인 기쁨을 줄 수는 있지만, 진정한 행복은 마음의 평화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합니다.

 

달라이 라마

 

2.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나는 설득당함)

행복은 인류의 오랜 질문이자 삶의 목표로 여겨져 왔습니다. 여러분들은 삶의 궁극적인 목표가 행복이라는 성현들의 의견에 동의하십니까? 그렇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아가며 활동하는 모든 생각과 행동은 행복을 목표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무탈한 삶 -> 행복
환경에 지배당하지 않는 삶 - 행복
사랑 - 행복

 

 

대학원생들의 의견들은 과정이고 행복을 목표로 생각해보면 이해가 잘 됩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를 정리하니 머릿속이 맑아지고 내가 공부하고 나아가는 목적이 쉽게 정해집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행복

 

상담심리 대학원 다니는 나는 내담자의 행복을 위해서 노력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여러분도 앞으로 여러분이 하고자 하는 일에 목표를 쉽게 설정하실 수 있을 겁니다.

 

나의 행복과 타인의 행복을 위해 살아가는 인간의 삶

 

 

3. 행복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

3.1 에드 디너(Ed Diener)

에드 디너(Ed Diener)는 행복을 연구한 심리학자로, 행복을 단순한 감정이 아닌 삶 전반에 대한 평가로 보았습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은 삶의 만족도, 긍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감정의 감소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소득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그 영향이 줄어든다는 점, 사회적 관계와 인간관계가 행복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밝혔습니다. 또한, 외향적인 성격과 문화적 가치가 행복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행복이 건강과 장수를 높이고, 삶에서 의미와 목표를 찾는 것이 지속적인 행복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합니다.

 

 [심리학 공부] - Dr. Happiness 에드 디너 연구 요약: 행복과 삶의 궁극적 목표 (레포트)

 

Dr. Happiness 에드 디너 연구 요약: 행복과 삶의 궁극적 목표 (레포트)

에드 디너의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로서의 행복을 뒷받침하는 주요 통계와 연구 정보를 요약합니다.에드 디너 연구 요약: 인간의 삶과 행복에드 디너(Ed Diener)는 행복을 과학

inforrlife.tistory.com

 

 

3.2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의 PERMA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은 긍정심리학의 창시자로, 행복을 이루는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PERMA 모델로 설명했습니다. 이 모델은 인간이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요소로 구성됩니다.

  1. 긍정적인 감정 (Positive Emotion): 삶에서 기쁨과 즐거움을 경험하며, 희망과 감사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
  2. 몰입 (Engagement): 자신의 재능과 열정을 발휘하여 완전히 몰두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깊은 만족감을 얻는 상태.
  3. 의미 있는 삶 (Meaning): 자신이 중요한 가치나 목표를 위해 살아가고 있다고 느끼며 삶의 목적을 발견하는 것.
  4. 긍정적인 관계 (Relationships): 타인과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며, 서로에게 지지와 사랑을 주고받는 것.
  5. 성취 (Achievement): 개인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성과를 달성하는 것.

PERMA 모델은 행복이 단순히 감정적 만족에 그치지 않고,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균형을 이루는 데 있다고 강조합니다. 셀리그만은 이 모델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개인과 공동체 모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4. 행복을 결정짓은 유전적요인

Lyubomirsky와 Sheldon의 연구에 따르면, 행복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개인의 선택과 행동이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 연구는 행복의 50%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10%는 외부 환경에 의해 좌우되고, 나머지 40%는 개인의 선택과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유전적 배경이 중요하지만, 자신의 행동과 태도 변화가 행복을 크게 좌우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이 50%라는 사실은 잘 태어나는 것도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Lyubomirsky와 Sheldon의 연구

 

행복과 유전적 요인 실험은 쌍둥이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당연히 어릴 적 입양등으로 헤어진 일란성쌍둥이 들을 추적조사한 결과 비슷한 행복감을 느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5. 행복에 대한 이해

행복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를 간단하게 풀어보았습니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가 행복인 만큼 상담자로서 사람들의 행복을 되찾아 드리기 위하여 노력할 점들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알아볼 생각입니다. 행복을 잘 느끼는 사람은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정말 충격적입니다. 행복을 잘 느끼는 사람은 삶의 만족도도 높지 않을까요? 이 불공평함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려 합니다.

 

반응형

 

[심리학 공부] - 슈퍼키드 증후군 완벽주의에 빠진 아이들

 

슈퍼키드 증후군 완벽주의에 빠진 아이들

완벽주의에 빠진 아이안녕하세요. 오늘은 완벽주의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완벽주의는 우리 아이의 심리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아이들이 뛰어난 성과를 내기 위

inforrlif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