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맞춤법2

부조금 부의금 조의금 축의금 헷갈리는 우리말 2편 14가지 헷갈리는 우리 말 2편입니다. 찾아볼 때는 알아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잊어버리는 정확한 우리말 우리글 제가 기억하기 위하여 남겨봅니다. 1. 금일 금일은 이제금, 날일 자를 쓰는 한자어로 오늘을 뜻합니다. 한자어로 된 날짜와 관련된 어려운 단어를 알아봅시다. 현재기준 일 주 월 년 저번 작일(=어제) 작주(=저번주) 작월 (=저번달) 작년 (=지난해) 이번 금일(=오늘) 금주(=이번주) 금월 (=이번달) 금년 (=올해) 다음번 명일(=내일) 내주(=다음주) 내월 (=다음달) 명년 (=내년) 2. 며칠과 몇일 (몇일은 국어사전에도 없는 말) 며칠은 '며츨'이라는 단어가 변한 말로써 '몇일'은 아예쓰지 않는 말이니 기억에서 지우자. 국어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몇 년, 몇 월, 몇 날, 몇 시, 몇 분은 사용.. 2023. 12. 20.
내일, 모래, 글피, 그글피 헷갈리는 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1. 웬과 왠 내가 말하려는 문장이 궁금증을 포함하고 있다면 '왜'와 비슷하게 생긴 왠을, 그렇지 않다면 '웬을 사용 ex) 왠지(O) ex) 웬 떡이야!(O) 웬일이야!(O) 웬만하면 그만하시죠(O) 2. 심심한 사과 심심한 사과에서 '심심'은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음을 뜻함. ex) 심심한 사과(O) 심심한 애도(O) 심심한 경의(O) 3. 내일, 모래, 글피, 그글피 내일= 오늘의 다음날 모래= 내일의 다음날 글피= 모래의 다음날 그글피= 글피의 다음날 4. 날짜와 숫자 날짜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숫자 하나 둘 셋 넷 다섯 날짜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 숫자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5. 봬요와 뵈요 ‘봬’는 ‘해’로 대체할 수 있고, ‘뵈’는 ‘하’로 바꾸어 쓸 수.. 2023. 10. 21.
반응형